미국주식을 하는 분들은 양도소득세 꼭 신경써야합니다.
미국주식 세금은 크게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로 나뉩니다.
차익에 대한 미국주식 세금 신고는 5월 1일부터 5월 31일 사이인데요.
이 기준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의 차익실현에 대해 신고하는 것입니다.
미국주식 양도소득세란?
미국주식 세금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신고방법 절세방법
미국주식 세금은 크게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로 나뉩니다.차익에 대한 미국주식 세금 신고는 5월 1일부...
blog.naver.com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1) 해외주식에 반해 국내주식 양도소득은 현재 비과세입니다.
(보유금액 10억원 등 대주주만 일부 과세)
2) 해외주식 양도소득은 세율 22%가 적용되는 분류과세 되는 소득세이다.
250만원은 공제됩니다.
3) 해외주식 양도소득은 금융소득종합과세와는 무관합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는 "주식양도소득"과 무관하며, 예금, 주식(국내외 모두 포함) 등 투자에 따른 이자 및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원 넘으면 다른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등)과 합산하여 종합세율을 적용합니다.
4)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원이 넘으려면 시드가 10억은 되어야 하므로 큰 신경을 안써도 됩니다.
(2천만원 이내 이자, 배당소득세율은 15.4%이며 지급할때 자동으로 지급)
5) 연간 양도차익이 250만원 미만이면 내야할 세금은 없습니다.
6) 과세기간은 1.1~12.31 까지이며, 해당 기간의 총 실현된 양도손익을 통산하여 다음년도 5월에 신고 납부해야합니다.
양도차익 250만원 넘는데도 신고, 납부 안 하면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7) 신고는 홈택스에서 직접할 수 있고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신고대행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각 매도건별로 계산 후 합산합니다.
기준은 원화 기준입니다.
양도차익 : 매도가*매도 기준환율*수량 - 매수가*매수 기준환율*수량
양도소득세 : (양도차익 - 수수료 등등 - 250만원) * 22%
(해외주식 양도차익 산정시, 결제대금이 계좌로 입출금 되는날이 환율 기준입니다.)
*세법상 양도차익에는 환차손익이 포함됩니다.
즉 환율 문제도 양도세 계산에 중요한 요소라는 것입니다.
애플 주식을 $1000에 사서 (환율 \1200) $1050에 매도 (환율 \1100)하면?
매수가 120만원, 매도가 115만5천원
- 단편적으로 5% 이익이다. 환율이 내려갔지만 그 달러를 환전하지 않고 재투자하거나 환율 올라갈때 팔면 됩니다.
- 양도소득세에는 환차손때문에 오히려 양도차손이 발생합니다. (1050 x 1100) - (1000 x 1200) = -45,000
- 바로 환전하면 손실이 되는 것입니다. 환율이 올라갈 때 매도하면 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게 됩니다.
* 매도하게 되면 환전여부와 관련없이 양도손익은 확정됩니다. (매도결제일 기준환율 적용)
*결제잔고의 평가손익은 실제와 다를 가능성이 많습니다.
- 1억원 입금해서 수익률이 10%라 할지라도 환율하락에 따라 실제 총잔고는 1억이 아닐 가능성이 많습니다.
- 현재 계좌 총 잔고는 현재 환율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각 종목의 매입 당시 환율이 적용되지 않음.)
*때문에 양도차익은 어플이나 엑셀에 따로 계산해봐야 합니다.
*보유하거나 매도한 주식에는 모두 매입가($)와 매입결제시 기준환율이 있어 볼 수 있습니다.
절세방법) 매도 후 재매수를 통한 절세 관련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250만원까지 비과세입니다.
<올해 손실이 없는 경우>
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주식이 수익 중이라고 하면,
그 중 양도차익 250만원에 해당하는 주식을 팔았다가 다시 사면, 250만원 x 22% = 55만원 절세할 수 있다.
- 해당 금액은 미래에 주식 매도시 내야 할 세금을 올해 공제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절세한다는 개념입니다.
- A주식 매입금 1000만원 현재 평가액 1500만원 (평가차익 500만원)
- B주식 매입금 1000만원 현재 평가액 1200만원 (평가차액 200만원)
- 이 경우 A주식 1/2을 매도 후 매수해도 되고, A주식 100만원 매도/매수 & B주식 전체 매도/매수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매도 후 매수하면 거래수수료만큼 손해입니다. 보유 주식 수는 같습니다.
매도/매수 주식의 매입가격은 높아지고 보여지는 평가수익률도 낮아집니다.
때문에 장기로 가져갈 주식에서 매도하는게 좋습니다.
<올해 양도손실이 있는 경우>
올해 손절해서 확정된 손실이 있고 연말 현재 평가이익이 난 다른 주식이 있으면,
(해당 확정 손실 + 250만원) x 22% 해당하는 금액을 절세할 수 있다.
- 평가수익이 난 다른 주식에서 차익이 (해당 손실 + 250만원) 해당액이 되는 만큼 매도/매수하면 됩니다.
- 양도손실은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반드시 양도세자료에서 조회된 금액이나 위 산식에 따라 계산한 금액이어야 합니다.
- 익절한 걸로 알고 있는데 환차손 때문에 알고보면 손절인 경우도 있습니다.
<올해 평가손실이 있는 경우 1>
올해 손절하여 확정된 손실은 없지만, 연말 현재 평가손실 주식도 있고 평가이익(또는 확정된 양도이익) 주식도 있는 경우
- 일반적으로는 평가이익 주식에서 양도차익 250만원에 해당하는 주식만 매도/매수하여 55만원 절세합니다.
- 평가손실 주식을 오래 가져갈 생각이 없다면, 손절하여 양도손실 확정하고 평가이익 주식을 매도/매수하면 (해당 확정 손실 + 250만원) x 22% 해당하는 금액을 절세할 수 있습니다.
<올해 평가손실이 있는 경우 2>
평가손실 중이 주식도 장기로 가져갈 생각인 경우에도 해당 손실주식도 매도/매수하여 양도손실 확정하고 평가이익 주식도 해당 양도손실+250만원치 매도/매수하여 (해당 확정 손실 + 250만원) x 22% 해당하는 금액을 절세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영구적으로 절세하는 금액은 여전히 55만원이고, 나머지 절세액은 단지 평가이익 주식의 납세 시점을 해당 주식의 매도 시점에서 평가손실 주식의 매도 시점으로 이연하는 효과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극히 일부 사례에서만 유효한 전략입니다.
- 예를 들어 올해 주식을 많이 사고 팔고 하여 총 750만원의 양도차익이 발생할 경우 내년 5월에 (750만원 -250만원) x22% = 110만원의 세금을 내야 하는데, 현재 가지고 있는 A주식(매입가 1000만원, 현재가 800만원)이라면 A주식 전체 매도/매수하면 내년 5월에 내야 할 세금은 (550만원-250만원) x22% =66만원이 됩니다.
-여기서 44만원 절세한 것은 실제 절세한게 아니라 추후 A주식을 매도할 때 그만큼 더 내야하는 금액입니다. (A주식의 매입가가 더 낮아졌으므로 양도차익 커짐).
- 그러나 수익이 대박나서 당장 세금 낼 돈이 없어서 주식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거나, 재투자로 인한 복리효과 등 고려시 일부는 고려해볼만한 전략입니다.
자녀 계좌의 경우
- 보통 자녀계좌는 매도를 잘 안 하기 때문에 잘 안하는 듯하다.
- 초기 증여액이 2천만원이내라도 매도/매수가 잦으면 투자수익까지도 증여의제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 자녀의 양도소득금액(양도차익 - 250만원) 이 100만원 이상이면, 연말정산 기본공제 대상자에서 제외되니 특히 유념하여야 한다.
배우자 증여를 통한 절세
배우자에게는 6억원까지 증여공제가 되고, 이월과세제도가 없기 때문에, 주식이 대박난 경우라면 배우자 증여 후 매도하는 것도 절세 방법이 됩니다.
테슬라 주식 1,000만원 수익, 양도소득세 세금은? 미국 주식 단타치면 안되는 이유 (세금과 증권사
미국 주식은 흔히 단타치기에 좋지 않은 장이라고 합니다.왜 그런지 알아볼게요.미국 주식 단타치면 안되...
blog.naver.com
'주식&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ETF QQQ 인베스코에 대해 (장점, 단점) (0) | 2020.12.06 |
---|---|
산술평균, 기하평균 주식 투자수익률 계산방법 (엑셀 함수 geomean) (0) | 2020.12.02 |
미국 대마주 마리화나 관련주 ETF TOP3 (0) | 2020.12.01 |
중국 전기차 업체 주가 전망 (니오 샤오펑 리오토) (0) | 2020.11.29 |
아프리카 돼지 열병 관련주 (0) | 2020.11.29 |
최근댓글